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대학별 학생부 종합전형 평가포인트 총정리 | 서울대, 연세대, 고려대 등

by 대입 정보 공유 2025. 5. 11.
반응형

학생부종합전형은 단순한 성적이 아닌, 학생의

학업 역량, 인성, 전공 적합성, 발전 가능성

을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입시 방식입니다.

특히 대학별 평가 기준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, 각 대학의 전형 가이드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
이 글에서는 주요 인서울 대학들의 학생부종합전형 평가 포인트를 구체적으로 비교해 드립니다.

1. 학생부종합전형 핵심 평가 요소

대부분의 대학은 다음 4가지를 핵심 평가 요소로 제시합니다:

  • 학업역량: 내신, 세부능력 특기사항, 수상실적
  • 전공적합성: 동아리, 독서, 진로활동
  • 인성: 봉사활동, 협력, 책임감 등
  • 발전 가능성: 자기주도적 활동, 창의적 도전

2. 대학별 평가 포인트 표 정리

대학명 전형명 평가비중 특징 및 전략
서울대 일반전형 학생부+자소서+면접 학업역량 최우선. 세특에서의 탐구심, 도전성 강조. 과목 간 연계 활동 중요
연세대 활동우수형 학생부+면접 전공적합성과 발전 가능성 중시. 자율적 활동·연계 프로젝트가 강점
고려대 학업우수형 학생부 100% 정량+정성 종합. 내신 상위권 우대, 세특 구체성 매우 중요
성균관대 계열모집형 학생부+면접 자기주도성 강조, 사회적 이슈에 대한 관심과 탐구 사례 우대
한양대 종합전형 학생부 100% 전공 관련 활동 집중 반영. 논리력·의사소통능력 중시

3. 세특·면접 연결 전략

  • 세특: 과목별로 활동성과 태도가 뚜렷해야 함
  • 면접: 자소서 기반 질문이 많음 → 구체적 경험 정리 필요

예시

생활기록부 세특: “사회과에서 지역 불균형 문제에 대해 조사하고 토론함” 
→ 면접: “지역 불균형 해결을 위한 정책적 접근에 대해 토의 경험 설명”

4. 대학별 ‘좋아하는 학생’ 유형

  • 서울대: 과목 간 연결 능력, 자기주도 탐구 우수
  • 연세대: 활동 주도력, 성찰적 태도
  • 고려대: 교과 성적+세특 완성도 높은 학생
  • 서강대/이화여대: 인성과 소통 능력 겸비
  • 성균관대/한양대: 실천력 있는 탐구 활동 중심

📌 결론: 학생부종합전형, 전략이 답이다

학생부종합전형은 기록의 싸움입니다. 단순히 열심히 한 것을 넘어

어떻게 보여주느냐

가 관건입니다.

대학별 평가 기준을 이해하고, 그에 맞춰 생활기록부 세특 내용을 작성해야 합니다.

지금부터 각 대학의 전형 가이드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스토리라인을 만들어 가세요.

그것이 합격의 지름길입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