생활기록부는 대학입시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.
특히
학생부종합전형
이나
학교 추천 전형처럼
정성평가가 큰 전형에서는 생활기록부에 어떤 내용을 담느냐에 따라 합불이 결정되기도 합니다.
이 글에서는 생활기록부 주요 항목을 기준으로 어떻게 작성하면 좋을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인적사항 & 출결
출결 사항은 감점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. 무단결석이 0회인 것이 이상적이며,
지각이나 조퇴도 줄이는 것이 유리
합니다.
만약 어쩔 수 없는 사유가 있다면 담임교사나 담당 선생님과 미리 상담하여 공결 처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세요.
2. 학업 성적
교과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은 생활기록부에서 핵심 중 하나입니다. 단순히 성적만 좋은 것이 아니라
어떤 학업 태도와 탐구활동
을 했는지가 드러나야 합니다.
예를 들어, 국어 과목에서 “시 창작 프로젝트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창의력을 발휘함” 같은 내용이 이상적입니다.
3.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예시
과목 | 작성 예시 |
---|---|
국어 | 다양한 문학작품을 비교 분석하고, 시 창작 활동을 통해 문학적 감수성을 표현함. |
사회 | 역사적 사건의 원인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, 조별 발표에서 주도적으로 자료조사를 수행함. |
영어 | 영자신문 만들기 활동에 참여하여 원어민 인터뷰를 주도하고 영어 표현력을 향상시킴. |
4. 창의적 체험 활동
자율활동, 동아리활동, 진로활동 모두 구체성이 중요합니다. “리더십 발휘”나 “성실하게 활동” 같은 추상적인 표현은 피하고
무엇을, 어떻게, 왜 했는지
가 보여야 합니다.
💡 예시: 동아리활동 특기사항
“경제 탐구 동아리에서 인플레이션 원인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, 학교 축제에서 관련 주제 발표를 기획함.”
5.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
이 항목은 담임 선생님이 작성하나, 학생의 태도와 리더십이 반영됩니다.
적극적인 수업 참여, 또래와의 협력, 문제해결능력
등을 평소 생활을 통해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.
6. 생활기록부 작성 꿀팁 총정리
- 항목별로 '행동 + 결과'를 담아라
- 실제 활동이 있는 것만 기재하라 (허위 기재 금지!)
- 키워드: 자율성, 탐구심, 책임감, 소통, 협력
📌 결론: 생활기록부 잘 쓰면 합격이 보인다
생활기록부는 단순히 성적을 적는 기록지가 아니라 학생의 성장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.
입시에서 성공하려면 지금부터 매 학기 진지하게 준비
해야 하며,
활동 기록과 더불어 반성 및 피드백까지 담기는 것이 이상적입니다.
꾸준한 기록이 대학 입시에 큰 차이를 만듭니다. 지금부터 시작하세요!